티스토리 뷰
선별진료소 운영시간 위치 예약방법 1분정리
선별진료소 운영시간 몇시부터 몇시까지?
확진자와 동선이 겹치거나 걱정스러워서 검사를 받고자 하는 분들은 선별진료소를 방문해주셔야 하는데요. 선별진료소 운영시간 및 위치와 예약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선별진료소를 검색하시면 보건복지부의 코로나 관련 사이트가 뜹니다. 메인페이지에서 지역별 거리 두기 단계 아래쪽을 살펴보시면 '선별진료소/국민안심병원/호흡기전담클리닉 찾기' 메뉴가 있습니다.
선별진료소 찾기 페이지로 넘어가면 '선별진료소' 항목을 선택해서 검색하고자 하는 지역이나 지역전화번호 앞자리를 입력하면 주변의 선별진료소 목록을 안내해줍니다. 각 지역별 대표 기관의 평일기준 운영시간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서울은 평일기준 강남구보건소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삼성서울병원은 24시간 운영, 강남세브란스병원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강동구보건소는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중앙보훈병원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강동경희대병원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합니다.
성남시분당구보건소는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분당차병원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분당제생병원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성남시수정구보건소는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성남시의료원은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순천의료재단 정병원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반까지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전 대덕구보건소는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반까지, 근로복지공단 대전병원은 오전 8시 반부터 12시 반까지, 대전보훈병원은 오전 8시 반부터 오후 5시까지, 대전광역시 동구보건소는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대전한국병원은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운영합니다.
광주 광산구보건소, 광주 남구보건소, 광주 동구보건소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첨단종합병원,KS병원은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광주기독병원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합니다.
부산 강서구 보건소, 금정구 보건소, 기장군 보건소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갑을녹산병원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세웅병원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반까지,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은 오전 8시 반부터 오후 5시 반까지 운영합니다.
대구 달서구 보건소, 세강병원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달성군 보건소, 삼일병원, W병원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구병원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반까지 운영합니다.
강원 강릉시보건소는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강릉아산병원은 오전 9시 반부터 오후 3시 반까지, 강릉 동인병원은 24시간 운영, 강릉고려병원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강릉의료원은 오전 8시반부터 오후 5시 반까지, 고성군보건소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합니다.
토요일은 월-금요일보다는 운영시간이 다소 짧게 운영되며, 보건소들은 오전 9시부터 12시정도까지 운영을 하는 것 같습니다. 일요일은 검사를 실시하지 않는 기관도 있기 때문에 이 점 참고하셔서 검사소를 방문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드라이브스루 검사를 원하시는 분은 '승차검진 선별진료소' 탭에서 검색을 해보시면 되겠습니다. 제가 사는 지역의 진료소는 오전 9시부터 6시까지 운영하는데, 전화로 문의하니 5시 반까지는 접수를 해야 검사를 받을 수 있다고 해서 시간에 맞추어 방문을 했습니다.
다만 급격히 찾아온 한파로 인해 서울시와 일부 시/군에서는 임시 선별검사소의 운영시간을 단축한다고 합니다. 1월 7일-1월 10일까지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만 검사를 실시합니다.
선별진료소 운영시간 검사종류
선별진료소 운영시간 비용/검사종류/예약방법
선별진료소에서 검사를 실시하면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데요(밀접 접촉자나 유증상자로 의사가 판단한 의심 환자는 무료).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이상일 때, 보건소나 시/구에서 운영하는 검사소는 무료로 검사를 받으실 수 있고, 이외의 진료소인 병원은 비용이 나옵니다. 입원을 목적으로 처방전 등을 받고 동일 병원에서 검사를 받으면 1-2만원 정도 발생하고, 타병원에서 검사를 받았거나 입원목적이 아닌 단순 검사는 7-8만원 정도 나온다고 하네요. (입원 목적으로 동일 병원에서 검사를 받았더라도 본인부담금이 더 많이 나오는 병원도 종종 있다고는 합니다.)
검사 방법에는 일반적으로 실시하는 비인두도말PCR이 있고 이외에 타액 PCR, 신속항원검사가 있습니다. 비인두도말 PCR은 코 속 깊숙하게 면봉을 넣어 채취를 하고 PCR 검사를 하게 되는데요, 검사 결과는 24시간 정도 소요가 됩니다.
신속항원검사는 코에서 검체 채취 후 검사키트에 검체혼합용액을 떨어뜨려서 30분 후 신속하게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타액검체 PCR은 타액을 검체통에 배출해서 검사를 받게됩니다.
신속항원검사는 검사 결과를 빨리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기존 PCR 검사보다는 다소 민감도가 떨어져 바이러스가 적은 초기 환자들은 잡아내지 못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래도 직장에 빨리 복귀해야 하는 분들이나 기숙사에 들어가야하는 학생 등 필요하신 분들은 이 검사를 받으시는 게 편리하겠네요. 신속항원검사는 2만원대에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진료소에 가시면 기초역학조사서를 작성하시고 검사를 받으시게 됩니다. 검사를 받으신 후에는 도보나 자가용으로 귀가하시고, 검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는 자택에서 격리수칙을 지켜주셔야 하겠습니다. 같이 사는 가족분이 있다면 접촉하지 않도록 유의합니다.
예약하고 가시기를 희망하시는 분은 가시고자 하는 진료소에 전화로 예약 문의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요새 검사 인원이 많은 편이라 예약도 되는 곳이 있고 안되는 곳이 있는 것 같습니다.
올해 초보다 확산세가 더 강하고, 변이 바이러스도 나타나고 있어서 더더욱 집콕을 하게되는 시기인 것 같습니다. 모두 몸조심하시기 바라며, 필요시에는 검사 잘 받으시고 오세요. 날씨가 많이 추우니 따뜻하게 입고 건강 챙기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